본문 바로가기
Data Analysis/R

[R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데이터 분석] 03 - R 언어 문법 익히기 1

by olli2 2021. 7. 6.

R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데이터 분석 과정 - 2회차

03 - R 언어 문법 익히기 1

 

 

data()

> data()

사용 가능한 데이터셋 목록 확인

 

 

hist(데이터셋명)

> hist(Nile)

Nile 데이터셋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그려 우측 하단 영역에 보여줌

 

 

주석

> #주석처리할 내용

다음과 같이 작성 후 실행하면
결과는 위와 같다.

주석문은 프로그램 내부에서 처리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
 

 

args(함수명)

> args(max)

> args(sum)

괄호 안에 입력한 함수명의 파라미터 보기

 

 

변수에 값을 저장하기

변수 (variable)

: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처리결과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 공간

: R의 모든 변수가 객체 형태로 생성되므로 하나의 변수에 자료, 함수, 차트, 이미지 등 모든 형식을 저장할 수 있음

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에는 항상 변수가 왼쪽에 오도록 해야하며,

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.

(1) 등호 기호를 사용하여 변수에 값 저장

(2) 꺾쇠 기호와 마이너스 기호를 사용하여 변수에 값 저장

둘 중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도 결과는 같다.

 

<변수 이름 작성 규칙>

- 첫 글자는 영문자로 시작해야 한다.

- 첫 글자를 제외한 글자에는 숫자, 언더바(_), 점(.) 사용 가능

- 대소문자를 구별한다

-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이름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.

- 두 단어 이상을 포함하는 이름으로 변수 이름 작성 시, 낙타체 사용 ex) sumOfScore

 

 

 

변수.멤버 형식의 변수 사용

 

 

스칼라 변수

- 하나의 변수에 하나의 값만 저장하는 변수

- 벡터와 같이 여러 값들을 저장하는 변수도 있음

 

 

변수의 내용 확인하기

변수에 값 대입 후, 변수의 내용을 확인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.

(1) 변수명만을 입력

(2) print(변수명)

(3) cat(변수명)

 

변수에 값들을 저장하면 Environment 탭에 저장된 변수들의 목록이 나타난다.

 

 

두 값을 교환하는 예제

 

 

R은 변수 선언 시 별도의 Type을 선언하지 않음